[Linux] Docker
·
네트워크/Linux
1.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이란?컨테이너 인프라는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실행하기 위한 가벼운 가상화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 스택이다. 기존의 가상 머신(VM) 방식과 달리 컨테이너는 OS 커널을 공유하며, 빠른 배포와 효율적인 자원 활용이 가능하다.컨테이너 기반 인프라의 특징경량성: 가상 머신보다 가볍고, 빠르게 실행됨이식성(Portability): 개발 환경과 운영 환경의 일관성 유지확장성: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와 결합하여 확장 가능자동화: CI/CD 파이프라인과의 연동을 통한 배포 자동화2. 쿠버네티스 란?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 관리 도구로 실제로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을 위한 솔루션이다.각 요소들의 유기적 관계를 미리 정의해 손쉽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다수의 컨테이너를 연결,종료 ,..
[Devops] Ansible 실습
·
네트워크/Linux
1. Ansible을 사용한 서버 구축 자동화ansible을 사용하여 클라우드 서버 A로 부터 B ,C의 인스턴스에 서버를 자동으로 구축 할 수 있도록코드 작성---- name: hosts: all tasks: - name: Install httpd php* dnf: name: - httpd - php state: latest - name: start httpd service: name: httpd state: started - name: enable php service: name: httpd enabled: yes - n..
[Devops] Ansible 기초
·
네트워크/Linux
1. Ansible 이란?Ansible은 IT 자동화를 위한 오픈소스 도구서버 구성 관리, 애플리케이션 배포, 프로비저닝 등의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SSH를 기반으로 동작하며, 별도의 에이전트(Agent) 설치 없이 관리 노드에서 원격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2. Ansible 장점자동화 도구와 같이 관리 대상 서버에 별도의 에이전트 설치하지 않음에이전트 없이 SSH로 접속하여 대상 서버 관리동일한 연산을 여러번 적용하더라도 결과가 달라지지 않음Yaml 문법을 사용하여 읽고 쓰기가 용이리눅스 기본 명령어 및 시스템 관리모듈, 클라우드, 쿠버네티스 등 다른 모듈과 컬렉션을 제공3. 주요 구성 1. 인벤토리vi /etc/ansible/hosts호스트명/IP : 호스트 명 또는 주소가 한줄에 위치그룹:..
[Linux] DHCP 설정
·
네트워크/Linux
1. DHCP란?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는 네트워크 내에서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고,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서버 등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 DHCP 서버를 이용하면 수동으로 IP를 할당할 필요 없이 클라이언트가 자동으로 네트워크 설정을 받을 수 있어 관리가 편리하다.2. DHCP설정2.1 패키지 및 기본 설정dnf -y install dhcp-server/etc/dhcp/dhcp.conf #수정## DHCP Server Configuration file.# see /usr/share/doc/dhcp-server/dhcpd.conf.example# see dhcpd.conf(5) man page#subnet..
[Network] offset List
·
네트워크/Linux
네트워크 라우팅에서 Offset List란?Offset List는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특정 경로의 메트릭 값을 조정하여 경로 선택에 영향을 주는 기능이다. 이를 통해 특정 경로의 우선순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주로 EIGRP, OSPF, RIP와 같은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사용된다. ✅ 활용 시나리오경로 우선순위 변경네트워크에서 여러 경로가 있을 때, 특정 경로의 메트릭을 높여 우선순위를 낮추거나, 반대로 낮춰 우선순위를 높일 수 있다.예: 특정 백업 경로의 메트릭을 높여서 주 경로가 우선 선택되도록 설정.로드 밸런싱 조정Offset List를 사용해 경로의 메트릭을 변경하여 트래픽이 여러 경로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한다.장애 복구 및 대체 경로 설정특정 경로가 비정상일 때 다른 경로가 더 빠..
[Linux] 메일 서버 구성
·
네트워크/Linux
1. 메일 서버의 역할과 구성 요소메일 서버는 MTA, MDA, MUA로 구성되며, 각 요소는 특정 역할을 담당한다.🔹 MTA (Mail Transfer Agent, 메일 전송 에이전트)이메일을 송수신하는 핵심 기능을 담당한다.**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를 사용하여 메일을 전송한다.대표적인 MTA: Postfix, Sendmail, Exim🔹 MDA (Mail Delivery Agent, 메일 배달 에이전트)메일을 사용자 메일박스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대표적인 MDA: Dovecot, Procmail🔹 MUA (Mail User Agent, 메일 클라이언트)사용자가 이메일을 작성, 전송, 수신하는 프로그램이다.POP3, IMA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메일을..
[Linux] NFS,Samba,웹 클라우드 실습 문제
·
네트워크/Linux
0. 공유 디렉터리의 Alma Linux minimal 8.10 이미지를 사용하여 Temp A, Temp B 리눅스를 설치하시오. 설치 시 마운트 형태는 자동이나 기타 임의로 설치하시오. 설치된 OS를 통해 다음을 작업하시오. 1. Temp A의 익명 사용자의 FTP 홈 디렉터리(/var/ftp/pub)가 NFS, Samba 디렉터리로 동시에 공유될 수 있도록 만들고 상대 팀원이 접근 가능하도록 만드시오. NFS, Samba 공유 시에는 익명과 마찬가지로 제한 없는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시오. 2. Temp A에 LAMP 스택을 설치하고 워드프레스 웹 서버를 설치하시오. 더불어 Temp B에도 LAMP 스택을 설치하고 nextcloud 웹 클라우드를 설치하시오. 양쪽 서버는 브라우저에서 별도의 경로 입력 ..
[linux]Web server 구축
·
네트워크/Linux
1. 3Tier Web Architecture3-Tier 웹 아키텍처(3계층 구조)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논리적으로 세 개의 계층으로 분리하여 구성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Presentation(프레젠테이션), Application(애플리케이션), Data(데이터) 계층으로 나뉨이 방식은 가독성, 보안성, 확장성,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1. Presentation Layer : 프레젠테이션 계층사용자 인터페이스(UI) 를 담당하는 계층, 웹 브라우저 , 모바일 앱 등 접근HTML,CSS,JavaScript 작성된 프론트엔드, 서버 템플릿 엔진이 포함됨사용자 요청을 받아 서버로 전달 ,서버에서 받은 데이터를 표시2. Application Layer비즈니스 로직 처리하는 서버 계층Reset ..
[Linux] SAMBA 서버 구성
·
네트워크/Linux
1. SAMBA란?SAMBA는 리눅스 또는 유닉스 시스템에서 윈도우 파일 공유 프로토콜(SMB/CIFS)을 지원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다. 이를 통해 리눅스 시스템과 윈도우 클라이언트 간 파일 및 프린터 공유가 가능하다.  SAMBA 설치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samba -ydnf install samba* #samba 패키지 전부 다운#SAMBA 설치#samba 최신 파일이 아닌 간단한 버전으로 다운rpm,deb 패키지 제공 방식소스코드 -> 컴파일 -> 설치 가능(최신버전, 경로 및 옵션 등 커스텀)#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설치 단계 SAMBA 설정 절차접근 관련 설정삼바 관련 데몬 시작서버 동작 및 메시지 확인관련 서버 메시지 ..
[Linux] Quota 설정
·
네트워크/Linux
1. Quota란?Quota(쿼터)는 리눅스 및 UNIX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디스크 용량(스토리지)을 제한하는 기능입니다. 특정 사용자(user)나 그룹(group) 또는 특정 프로젝트에 대해 할당할 수 있으며, 파일 시스템의 공간을 과도하게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합니다. 1. Quota 설정- 디스크의 마운트 포인트 지정 ext4 quota 설정 mkdir /newhomemkfs -t ext4 /dev/sdc1 #sdc 디스크를 quota 설정하기 위해 파일시스템 설정mount /dev/sdc1 /newhomevi /etc/fstab /dev/sdb1 /newhome ext4 defaults,usrquota,grpquota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