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AMBA란?
SAMBA는 리눅스 또는 유닉스 시스템에서 윈도우 파일 공유 프로토콜(SMB/CIFS)을 지원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다. 이를 통해 리눅스 시스템과 윈도우 클라이언트 간 파일 및 프린터 공유가 가능하다.
SAMBA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samba -y
dnf install samba* #samba 패키지 전부 다운
#SAMBA 설치
#samba 최신 파일이 아닌 간단한 버전으로 다운
rpm,deb 패키지 제공 방식
소스코드 -> 컴파일 -> 설치 가능(최신버전, 경로 및 옵션 등 커스텀)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설치 단계
SAMBA 설정 절차
- 접근 관련 설정
- 삼바 관련 데몬 시작
- 서버 동작 및 메시지 확인
- 관련 서버 메시지 확인
- 관련 서버 동작 확인
- 삼바 서버 재시작
- 부팅시 삼바 서버 활성화
#접근 관련 설정
#삼바 관련 데몬 시작
#서버 동작 및 메시지 확인
#관련 서버 메시지 확인
#관련 서버 동작 확인
#삼바 서버 재시작
#부팅시 삼바 서버 활성화
환경 설정파일
삼바를 제어하고공유시킬 시스템에 다양한 설정을 함
더보기
. 주요 설정 항목 정리
smb.conf의 주요 설정 항목은 다음과 같다:
- [global] : 전체 설정을 담당하는 섹션
- workgroup = WORKGROUP : Windows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워크그룹 설정
- server string = Samba Server : 서버 설명 설정
- security = user : 인증 방식 설정 (user, share, domain 등)
- log file = /var/log/samba/%m.log : 로그 파일 저장 경로
- max log size = 1000 : 로그 파일 최대 크기 설정
- [Share] : 공유 폴더 설정 섹션
- path = /srv/samba/share : 공유 폴더 경로
- browsable = yes : 네트워크에서 공유 폴더 표시 여부
- writable = yes : 쓰기 가능 여부
- guest ok = yes : 게스트 접근 허용 여부
- read only = no : 읽기 전용 여부
- create mask = 0777 : 파일 생성 시 권한 설정
- directory mask = 0777 : 디렉토리 생성 시 권한 설정
SAMBA 설정 실습
더보기

conf 파일 설정

공유 가능한 디렉터리 생성

unix charset = UTF -8 # UTF-F 글자를 인식 할 수 있도록 변경
host allow = 127. 192.168.111 10.0.1. 지정한 네트워크 대역 접속 허용
map to guser # 미인증 시 게스트 접속
공유 디렉터리 설정

path / #공유 경로 설정
writable # 읽고 쓰기 권한 설정
guest ok = yes #게스트 설정
guest only # 게스트 전용 설정
force create mod 777 # 접근 권한 설정 777 = 제한 없이 가능
\
디버깅 명령어
testparm
'네트워크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NFS,Samba,웹 클라우드 실습 문제 (0) | 2025.02.14 |
---|---|
[linux]Web server 구축 (0) | 2025.02.13 |
[Linux] Quota 설정 (0) | 2025.02.05 |
[Linux] BaseOS를 이용한 웹 서버 구축 (0) | 2025.02.05 |
[Linux] RAID,LVM 실습 문제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