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RAID

2025. 2. 4. 12:25·네트워크/Linux

RAID란? 

여러개의 물리적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 디스크 처럼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기술

RAID는 성능 향상, 데이터 보호, 가용성 증가 등의 목적을 가지고 사용 할 수 있다

 

RAID 0 (Striping)

1. 구성

  • 최소 2개의 디스크 필요
  •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블록 단위로 분할(스트라이핑)하여 저장

2. 장점

  • 읽기/쓰기 성능 증가: 여러 디스크에 데이터를 나누어 저장하므로 병렬 처리가 가능하여 속도가 향상됨
  • 스토리지 효율 100%: 모든 디스크의 용량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음

3. 단점

  • 데이터 보호 없음: 디스크 하나라도 고장 나면 전체 데이터 손실 발생
  • 신뢰성이 낮음: 디스크 개수가 많을수록 고장 확률 증가

4. 활용 사례

  • 성능이 중요한 환경 (예: 게임 개발, 영상 편집, 캐시 서버)
  • 데이터 손실을 감수할 수 있는 환경

RAID 1 (Mirroring)

1. 구성

  • 최소 2개의 디스크 필요
  • 동일한 데이터를 모든 디스크에 동일하게 저장(미러링)

2. 장점

  • 데이터 보호: 한 개의 디스크가 고장 나도 다른 디스크에 동일한 데이터가 존재하여 복구 가능
  • 읽기 성능 향상: 여러 디스크에서 동시에 읽기 가능

3. 단점

  • 저장 공간 비효율적: 50%의 디스크 공간만 실제 사용 가능 (2TB 디스크 2개로 RAID 1 구성 시 총 2TB 사용 가능)
  • 쓰기 성능 저하: 모든 디스크에 동일한 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므로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

4. 활용 사례

  • 중요한 데이터 보호가 필요한 서버 (예: 금융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서버)
  • 높은 가용성이 필요한 시스템

RAID 2 (비트 단위 스트라이핑 + ECC)

1. 구성

  • 최소 3개 이상의 디스크 필요
  • 비트 단위 스트라이핑을 수행하며, ECC(Error Correction Code)를 포함하여 오류 감지 및 복구 지원

2. 장점

  • 데이터 정확성 및 오류 복구 가능

3. 단점

  • 하드웨어 구현이 복잡하고 비효율적
  • 현대 시스템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음

4. 활용 사례

  • 과거 일부 메인프레임 시스템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RAID 3 (바이트 단위 스트라이핑 + 패리티)

1. 구성

  • 최소 3개 이상의 디스크 필요
  •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나누어 저장하고, 별도의 패리티 디스크를 사용하여 오류 복구

2. 장점

  • 오류 발생 시 패리티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구 가능
  • 높은 전송 속도 제공

3. 단점

  • 단일 패리티 디스크로 인해 병목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 있음
  • 사용 사례가 적음 (RAID 5로 대체됨)

4. 활용 사례

  • 영상 및 오디오 스트리밍 시스템에서 일부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RAID 4 (블록 단위 스트라이핑 + 패리티)

1. 구성

  • 최소 3개의 디스크 필요
  •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나누어 저장하고, 별도의 패리티 디스크에 오류 복구 데이터를 저장

2. 장점

  • 패리티 데이터를 활용한 복구 가능
  • 읽기 성능이 우수함

3. 단점

  • 패리티 디스크가 병목 현상을 유발 (모든 쓰기 연산이 패리티 디스크에서 발생)
  • RAID 5에 비해 활용도가 낮음

4. 활용 사례

  • 과거에는 일부 데이터베이스 및 파일 서버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RAID 5로 대체됨

RAID 5 (블록 단위 스트라이핑 + 분산 패리티)

1. 구성

  • 최소 3개의 디스크 필요
  •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나누어 저장하며, 패리티 데이터는 모든 디스크에 분산 저장됨

2. 장점

  • 데이터 보호 가능: 한 개의 디스크가 고장 나도 패리티 데이터를 이용해 복구 가능
  • 스토리지 효율 높음: RAID 1보다 저장 공간 활용도가 높음 (N개의 디스크 중 1개 분량을 패리티로 사용)
  • 읽기 성능 우수: 여러 디스크에서 동시에 읽기 가능

3. 단점

  • 쓰기 성능 저하: 패리티 계산이 필요하여 RAID 0보다 느림
  • 복구 속도 느림: 장애 발생 시 복구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림

4. 활용 사례

  • 중소기업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NAS(Network Attached Storage)
  • 비용과 성능의 균형이 필요한 환경

비교 요약

RAID 수준최소 디스크 개수데이터 보호성능활용

RAID 0 2개 없음 읽기/쓰기 성능 우수 성능이 중요한 환경 (게임, 영상 편집)
RAID 1 2개 1개 디스크 장애 복구 가능 읽기 성능 향상, 쓰기 성능 감소 금융 시스템, 중요 데이터 서버
RAID 2 3개 이상 ECC를 이용한 복구 가능 낮음 현대 시스템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음
RAID 3 3개 이상 단일 패리티 디스크로 복구 가능 전송 속도 우수, 병목 발생 가능 과거 일부 스트리밍 시스템
RAID 4 3개 이상 패리티 디스크를 이용한 복구 가능 읽기 성능 우수, 쓰기 성능 저하 과거 일부 데이터베이스 서버
RAID 5 3개 이상 1개 디스크 장애 복구 가능 읽기 성능 우수, 쓰기 성능 감소 NAS, 중소기업 서버

 

'네트워크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BaseOS를 이용한 웹 서버 구축  (0) 2025.02.05
[Linux] RAID,LVM 실습 문제  (1) 2025.02.04
[Linux] 스케쥴링 및 SSH 실습문제  (0) 2025.01.21
[linux]디스크 파티션 분할  (0) 2025.01.17
[Liunx] 리눅스 명령어 정리 (작성중)  (0) 2025.01.10
'네트워크/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inux] BaseOS를 이용한 웹 서버 구축
  • [Linux] RAID,LVM 실습 문제
  • [Linux] 스케쥴링 및 SSH 실습문제
  • [linux]디스크 파티션 분할
cumo
cumo
  • cumo
    이것저것
    cumo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86)
      • 보안뉴스 (14)
      • Project (4)
        • Network (0)
        • Linux (0)
        • Cloud (1)
      • wargame (1)
      • DevOps (8)
        • K8s (4)
      • 네트워크 (49)
        • Secuerity (1)
        • Cloud (6)
        • Linux (20)
        • Network (22)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도구모음 사이트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1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cumo
[Linux] RAID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