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요약
1.현재 전자정부와 관련해서는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정부 각 부처에 기능과 역할이 산재해 있다.
2.전자정부 사고가 발생했을 시 대책을 입안할 일원화된 컨트롤타워가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3.특히 CIO, CISO와 같은 보안 책임자 직제 신설도 절실한 상황이다. 보안과 전자정부 사고는 매번 반복됐지만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책임질 인사가 전무하다는 이유에서다.
4.국가사이버보안 측면에서도 보안 책임자 직제 신설은 긴요하다는 게 업계의 대체적 입장이다.
https://zdnet.co.kr/view/?no=20240123152441
개선방안
CIO,CISO와 같은 보안 책임자 직제 신설을 통해 보안 담당자를 배정하고
정부 합동 주요시스템 특별 점검이 주기적으로 실시 되어야 한다
'보안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뉴스]‘이력서’로 위장한 악성 워드문서 발견... 록빗 랜섬웨어 감염 주의 (0) | 2024.02.20 |
---|---|
[보안뉴스]17만 8천 개 넘는 소닉월 차세대 방화벽, 디도스와 원격 코드 실행 공격에 노출돼 (0) | 2024.02.20 |
[보안뉴스]USB를 통해 연쇄적인 공격 실시하는 공격자들, 멀웨어 활발히 퍼트려 (0) | 2024.02.20 |
[보안뉴스]국내 암호모듈검증 제도 ‘KCMVP’의 모든 것 (1) | 2024.02.20 |
[보안뉴스]클라우드 보안인증 등급제 본격 시행된다 (0) | 2024.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