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Network
[Network] Nat 설정
cumo
2025. 1. 21. 15:18
Cisco 라우터에서 NAT 설정으로 외부 네트워크 접속 구성하기
이 블로그에서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설정을 통해 내부 네트워크(192.168.1.0/24)의 PC와 서버들이 외부 네트워크(예: 8.8.8.0/24)에 접근할 수 있도록 R1 라우터에 NAT를 구성하는 방법을 다룬다. 또한 R1에서 R4를 통해 외부 인터넷으로의 경로를 설정하는 방법도 포함된다.
NAT란 무엇인가?
NAT는 사설 네트워크의 IP 주소를 공인 네트워크로 변환하여 외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IP 주소 절약, 보안성 강화, 네트워크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1. 네트워크 설계 및 필요 조건
구성 요약:
- 내부 네트워크: 192.168.1.0/24 (PC 및 서버)
- 외부 네트워크: 8.8.8.0/24
- 라우터:
- R1: NAT 구성 (내부 네트워크 → 외부 네트워크 변환)
- R4: 외부 인터넷(8.8.8.1 및 DNS 서버)으로의 경로 제공
- 인터페이스 및 역할:
- R1:
- 내부 인터페이스: FastEthernet0/0 (192.168.1.1)
- 외부 인터페이스: FastEthernet1/0 (10.0.0.1)
- R4:
- 외부 인터페이스: FastEthernet0/0 (10.0.0.2)
- R1:
2. NAT 설정 과정
단계 1: 기본 라우터 설정
R1과 R4 라우터가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와 기본 라우팅 설정을 추가한다.
R1 라우터 설정:
R1(config)# interface FastEthernet0/0
R1(config-if)# ip address 192.168.1.1 255.255.255.0
R1(config-if)# no shutdown
R1(config)# interface FastEthernet1/0 R1(config-if)
# ip address 10.0.0.1 255.255.255.0
R1(config-if)# no shutdown
R1(config)# ip route 0.0.0.0 0.0.0.0 10.0.0.2
R4 라우터 설정:
R4(config)# interface FastEthernet0/0
R4(config-if)# ip address 10.0.0.2 255.255.255.0
R4(config-if)# no shutdown
R4(config)# interface FastEthernet1/0
R4(config-if)# ip address 8.8.8.1 255.255.255.0
R4(config-if)# no shutdown
R4(config)# ip route 0.0.0.0 0.0.0.0 8.8.8.8
단계 2: NAT 구성
R1에서 NAT를 설정하여 내부 네트워크가 외부로 나갈 때 IP 주소를 변환하도록 한다.
NAT 인터페이스 정의
R1(config)# interface FastEthernet0/0 R1(config-if)# ip nat inside R1(config-if)# exit R1(config)# interface FastEthernet1/0 R1(config-if)# ip nat outside R1(config-if)# exit
정적 NAT 설정
외부와 통신할 때 내부 IP 주소를 변환하도록 NAT를 설정한다.
R1(config)# access-list 1 permit 192.168.1.0 0.0.0.255 R1(config)# ip nat inside source list 1 interface FastEthernet1/0 overload
- 설명:
- access-list 1 permit 192.168.1.0 0.0.0.255는 NAT 변환 대상인 내부 네트워크를 정의한다.
- ip nat inside source list 1 interface FastEthernet1/0 overload는 PAT(Port Address Translation)를 사용하여 다수의 내부 IP가 하나의 외부 IP로 나갈 수 있게 한다.
단계 3: 테스트 및 확인
NAT 상태 확인
R1# show ip nat translations
- 이 명령어를 통해 현재 변환된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NAT 구성 확인
R1# show running-config | include nat
- NAT 설정이 제대로 적용되었는지 확인한다.
네트워크 연결 확인
내부 PC에서 외부 IP(예: 8.8.8.8)로 핑을 실행하여 통신 상태를 테스트한다.
PC> ping 8.8.8.8
3. 의의 및 장점
- IP 절약: 내부 네트워크의 다수 IP 주소를 하나의 외부 IP로 변환함으로써 공인 IP 주소 사용을 최소화한다.
- 보안 강화: 내부 네트워크 구조를 숨기고 외부로부터 직접적인 접근을 방지한다.
- 유연성: 내부 네트워크 변경 없이 외부 접속 환경을 쉽게 구성할 수 있다.
4. 문제:
내부서버 공인 ip 10.0.0.3으로 변환
PC0 공인 IP 10.0.0.4.로 변환
내부라우터 3 IP 10.0.0.5 변환
1. R1 인터페이스 설정
내부통신 [f0/0, f0/1]
ip nat inside
외부통신 [f1/0]
ip nat outside
2. R1 의 IP 변환 설정
ip nat inside source static 192.168.1.100 10.0.0.3 # server 공인IP 변환 설정
ip nat inside source static 192.168.1.2 10.0.0.4 #PC0 공인IP 변환 설정
ip nat inside source static 192.168.3.2 10.0.0.5 #내부라우터3 IP 변환 설정
3. 설정 확인
4. 결과 확인
Ping test 과정 중 R1에 도착해 3계층(네트워크 계층) 에서 Fa0/1로 패킷을 내보낼 때 공인IP 10.0.0.5로 변환 결과 확인